[동의보감] 自汗 자한


자해

자한(땀)은 때때로 젖어 움직이면 더 심해지는 양허에 속하는 것으로 위기의 위기로 인한 것이다.

치료는 양을 보충하고 위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광학』).

○ 『영추』에는 “위기는 밥을 배부르게 하고 모공을 열고 닫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위기가 약해지면 모공을 열고 닫을 수 없기 때문에 배고픔이 희박해지고 땀이 난다.

○ 『내경』은 “땀이 몸의 반쪽에만 있으면 나머지 반은 쓰지 못하고 여위어진다”고 말했다.

○ 과도한 땀과 몸의 처짐은 축축함입니다.

심장은 더위를 지배하고 비는 습도를 지배합니다 땅의 수증기가 구름, 비, 안개, 이슬로 변하는 것처럼 습도와 열이 만나 땀을 흘립니다.

저는 조위탕과 옥병풍산을 사용합니다.

뱃속에 열이 있으면 이감탕(『의학개론』)을 쓴다.

○ 자한은 기허, 섭, 담이 소유하고 있다.

기허를 위해 인삼과 황기에 계지를 조금 더한다.

○ 내상이나 올헤손증후군으로 자한이 멈추지 않을 때 부자, 마황근, 부맥을 약간 첨가한 보조익기탕(조리법은 「내상문」에 있음)이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승마와 시호를 꿀물에 담그고 튀기는 이유는 과도한 들뜸과 풀림의 성질(약물)을 완화하고 인삼과 ​​황기 같은 약재의 기운을 높여 의의(동원화)를 이루기 위함이다.

○ 장기장기의 계지탕은 바람과 악으로 인한 수축에 좋은 약재이다.

황기건중탕은 공허함으로 인한 수축에 좋은 약이다.

보정기탕은 내상(동원)으로 인한 자해에 좋은 약재이다.

○ 모자에 의한 자기혐오 증거는 9건(자세한 내용은 「한문」 참조).

○ 자한, 황기탕, 황기유길탕(「소갈문」에 조리법 있음), 삼귀요자, 모려산, 소건중탕(「허오로문」에 조리법 있음), 삼기탕, 쌍화탕(「허오로문」에 조리법 있음), 계부탕, 출령탕, 진액단, 삼부탕, 기비탕 모두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