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가 9억 사건을 진정으로

펌) #무관심_수신_한겨레_해명_(ft. 친검親檢기자 난리)

0
아주 오래전 마포의 한 술집에서 석오환 한겨레 기자를 만났다.

기자들의 출입이 같을 때, 경쟁 신문사의 ‘기자들’을 일상에서 한두 번 만난 기억이 없다.

하지만 2000년대에는 ‘한겨레’ 기자들의 무게감이 달라 한두 번 더 본다.

요즘 모두가 일하고 싶어하는 활기찬 브랜드 한겨레. 그래서 한 시간 정도 같이 소주를 마셨지만 기억에 오래 남을 수 있었다.

그는 매우 작았고 안색이 어둡습니다.

서울대 출신으로 눈이 반짝반짝 빛나고 빈틈이 없는 말투가 아주 영리했다.

생각해보면 류오근 편집장을 사회부 연수 때 한두 번 만났는데 이번에 같이 사표를 냈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이 상황은 나보다 1-2살 정도 나이가 많다.

1. 예상 설명

별 기대 없이 ‘김만배 1일 9억원’에 대한 한겨레 기자의 조사 결과를 기다렸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한겨레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언론이 안고 있는 고질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를 복합적으로 엮은 심각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동료 기자들이 이 사건을 오랫동안 붙잡고 옳고 그름을 논하기도 어렵다.

이것은 일종의 “집사”이기 때문에 어떻게 끝내느냐가 중요합니다.

사건 당사자이자 비판의 대상인 한겨레의 ‘수사’ 결과가 가장 중요하고 기대를 모았던 것이 사실이다.

편집장과 사장은 이미 사임했고, 석 기자는 회사의 해고 결정을 묵묵히 받아들였다.

즉, 전대미문의 ‘철저한 수사’와 ‘가장 무거운 처벌’을 예고했다.

수사보고서는 2월 말에 나왔고, 페이스북에 언급한 사람은 별 여파 없이 몇 분 지나간 것 같다.

아마 많은 사람들이 조사 보고서를 읽지 않았고 사고 요약이나 그것을 요약한 제3자 기사에 관심을 두지 않았을 것입니다.

크게 보도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실 내용이 공허하고 음산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겨레는 “수사 결과, 윤리와 관련해 기자 개인의 과실이 있다”며 “이 점을 엄중하게 받아들이고 재발 방지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것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2. 개인 일탈?

한겨레의 오랜 애독자(?)로서 저 역시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언론이 이 상황에 가장 잘 대응하기를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최근 급락한 <한겨레>의 이미지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이를 살릴 뚜렷한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부국장의 9억 어뢰(?) 사건이 일어났고, 그는 어떻게 생각할까.

수사보고서에서 석 차장은 왜 9억 원이라는 거액이 필요했는지 파헤친다.

대부분의 취재일을 법률기자로 살았기 때문에 서초동에 아파트가 필요했던 것 같다.

2018년 기준 아파트 매매가는 14억~15억원 안팎이다.

안타깝지만 문제의 배경은 그가 18년 동안 한겨레 기자로 일하면서 손에 든 돈이 4억5억 원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2부는 지인인 김만배 씨로부터 돈을 받거나 빌렸는지, 대장동 관련 한겨레 기사에 부당하게 개입했는지, 신문 제작 기조에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수사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 수사관들은 온 힘을 다해 일했음을 분명히 깨달았습니다.

다단계 과학수사 결과 석씨나 석차장이 ‘대장동’ 보도에 개입했다는 증거는 없으며, 이는 타사 보도와 한겨레 보도를 비교한 것으로 입증된다.

요컨대 수사보고서의 최종 결론은 돈을 빌린 것은 잘못됐다는 것이었지만 한겨레 보도에는 문제가 없었다.

3. 책임과 판단

1997년 수평적 체제전환으로 한국 언론 지형이 지방자치단체에 종속된 사실은 공공연한 사실이지만 언론이나 정치학계에서 실증분석의 대상은 아닌 듯하다.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는 청와대가 ‘권력’의 핵심이었지만 이후에는 ‘사법부’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이 설명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물론 인구의 절반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검찰 회생”과 “사법부 절대권력”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고, 민주당과 정의당을 갈라놓는 기준이 이재명-이낙연 노선의 차이를 드러내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검찰과 사법부의 권력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미디어’라는 네 번째 부서의 역할이다.

1998년 이후 언론은 사법부에 절대적으로 동조하면서 민주정부를 통제하고 무력화하면서 검찰의 합법화와 정치화를 추진해왔다.

여기에 가장 크게 기여한 시스템은 기소와 평결의 ‘비밀’이다.

사법부와 국민을 잇는 역할을 ‘언론’이 독점한 사이에 법·검·기자 카르텔은 한국 사회에 확고히 자리잡았다.

4. 젊은 언론인, 반란

2019년 말 국내 상황과 2023년 초 윤석열 정부의 등장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는 더 이상 비밀이 아니다.

시대적 과제를 ‘검찰개혁’으로 천명한 문재인 정부가 검찰권 아래 속수무책으로 몰락한 과정은 앞으로도 역사소설의 소재로 기억될 것이다.

싱가포르 수도권 위기 소식을 듣고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습니다.

특히 가장 어처구니 없는 현상은 ‘한겨레신문’에서 발생했는데, 2019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회사의 리더십을 겨냥하고 젊은 기자들을 집중적으로 겨냥한 ‘책임과 반성’의 반발적인 발언이었다.

당시 젊은 기자들의 발언을 다시 읽어보니 황당할 정도로 어처구니가 없다.

문재인 정부의 인권침해를 고발해 차관의 이탈을 막고 이를 지켜보는 눈 먼 한겨레를 비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 그때는 “이게 뭐야?”라고 묻는 것도 황당했지만 지금은 더 황당하다.

언론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젊은 기자들이 뭉쳐 편집권을 침해하는 상황인데, 이 사건 이후 한겨레 법률보도는 완전히 편파적이 된다.

5. 우익 언론인의 비리

이번에는 ‘9억 뇌물 사건’에 대한 한겨레 진실보도를 읽어보면 좋은 독자의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다.

어떻게든 열심히 살았고 김만배 기자님이 옆에 계셨고, 착한 동생이 9억원을 무이자로 흔쾌히 빌려주어서 단 한번의 투자기회를 얻어 아파트를 샀고 14억 아파트는 단시간에 30억, 실거래가가 22억5000만호였기 때문에 소폭 하락했다.

하지만 정말 그런가요? 이 사건이 폐쇄적 법률 언론인의 근본적인 한계와 부패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겠습니까. 왜 법조인의 특권이 인정되지 않고 적시에 반영되지 않습니까? 법무팀 선임팀장이라면 김영란 법사가 얼마나 뛰어난지 어느 정도 짐작할 것이다.

골프를 치거나 명절에 선물을 받거나 대법원장을 따라 해외여행을 가는 것이 특혜가 아니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고위 법관과 검사의 형제자매로 함께 사회의 지도자로 성장하는 것이 가장 큰 특권임을 모르는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래서 한겨레든 다른 언론사든 법조 기자들을 없애고 싶어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기자들이 개인적 일탈에 몰릴 때 비로소 법조기자들이 키운 신입사원들이 미래 언론의 기둥으로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한겨레>는 다른 보수언론과 조금도 다르지 않은 보수언론으로 자리매김했어야 했다.

HP
1. 정말 한겨레가 9억 기자단 사건을 생각했다면 법조기자단에서 물러나 정말 사법부를 감시한다고 보도해야 하겠지만 솔직히 그런 수준을 현실에서 기대하기는 어렵다.

2. 필자는 2019년과 2021년의 반발 발언을 주도한 것은 한겨레 법조계 기자들, 특히 석모 씨와 같은 친정부 검사 출신 기자들이라고 의심한다.

그러나 이번 수사보고는 ‘대장동 신고’에 대해서만 다뤘다.

완전히 나쁜 보고서입니다.

3. 이번 수사보도의 하이라이트는 “석 기자가 뇌물을 받았지만 한겨레의 대장동 보도는 다른 언론과 다르지 않아 문제가 없다”는 점이다.

같은 법조팀과 친검 기자들의 글을 비교해야 합니다.

참을 수가 없어 비교하기 위해서. 이로써 한겨레 진보언론의 시대는 영원히 막을 내렸다.

안녕…

4. 그런데 9억은 누가, 언제 내나요? 아파트 팔고 바로 갚으면 한겨레 선후배들이 대신 갚아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그들을 해고하는 대신 비용을 청구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노무현을 그렇게 비판한 게 얼마만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