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심명9/유연에 쫓지도 말고 공인에

09 막추규연(莫逐有緣) 물주공인(勿住空忍) : 부드러움을 좇지 말고 공개하지 말라.

그러나 우리의 삶에는 현 상태를 유지하고 어려움을 극복하며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용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용이 있다는 것은 우리 삶의 필수 조건이지만, 용을 쫓지 않는다는 것은 이성에 어긋나더라도 용을 제대로 볼 수 없는 도덕적 무감각을 가진 사람이 용을 쫓는 것을 조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심명에서 용을 사냥하지 말라는 말은 부드럽다는 의미에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용을 쫓는 것은 남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악업을 짓는 것이 두려워 용을 쫓으려는 마음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이다.

가능하면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연을 쫓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공개하지 않겠다는 말은 공에 의지하거나 공에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는 뜻이다.

앞 문장에서 대낮에 용을 사냥해서는 안된다고 했다.

그럼 드래곤을 쫓지 않고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나요?

그리고 다시 말하지만 모든 것이 항상 있는 것은 아니며 연이 비면 사라지므로 무엇에 부착하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것에 대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까?

설령 그렇지 않다는 사상이 일어나더라도, 그 사상을 참지 못하고 공에 떨어지는 것이 맞는지, 즉 개인의 공에 떨어지는 것이 진리에 해당하는가 하는 문제가 생긴다.

반야심경에도 오감이 공(空)하여 눈, 코, 귀, 귀가 없고, 색, 냄새, 미각의 접촉 방법도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니? 질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징에 머무르는 것이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생각이 떠오를 때 떠오르는 생각마저도 참아 징을 멈추게 하는 것이 공인이다.

.

그런 공인에 휘말리면 허무주의에 빠지고 살 의욕까지 잃을 수 있으니 공인으로 남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는 불교의 공(空) 교리와 무사(無我)의 가르침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앞서 말씀드린 유연성을 추구하지 않는 것은 자기 계발의 걸림돌입니다.

사람이 무언가 또는 누군가를 의지하거나 원할 때 자신의 변화와 자신의 변화를 외면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부모에게 의지하는 마음을 해방시키고 자신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부모도 공(空)하다고 하여 반야심경에서는 무색성향미촉법이라 하고 무안이비솔신의라 하여 네가 자신을 비우면 말이 될 것입니다.

그는 부모나 자신의 욕망에 의지하지 말고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라고 말했습니다.

이때 반야바라밀다는 지혜의식에서 말하는 아라야식의 몸이며, 불생불멸의 원초적 형상이다.

용을 따르되 더러운 마음으로 대하지 말고 순수한 마음으로 대하라. 즉, 비어있다는 것은 자신을 비우는 것이 아니라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비우는 것, 즉 그것으로부터 자신을 해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농양

워터 마스터

유연성을 따르지 않는다

공개하지 마십시오

.

“유”, 즉 존재하는 모든 것이 운명의 소치에 달려 있습니다.

공이 보이지 않습니다.

정말 단단해도 보이지 않습니다.

그것이 내가 인내 논증을 사용한 이유입니다.

나는 그것을 매우 좋아하지만 내가 좋아하는 것을 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많이 싫은데 나도 싫다고 볼 수가 없다.

죽을만큼 아프지만 그 고통을 볼 수조차 없습니다.

그것이 인간의 의미입니다.

공의 속성은 이렇습니다.

봉인은 정의를 선언합니다.

그래서 공인입니다.

그는 그들에게 길을 쫓지 말고 공에 머물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유나 공의 한쪽으로 기울면 끝나지 않는다.

“어떻게 진정할 수 있습니까?”

있어야 할 마음을 버리고, 없어야 할 마음을 버리고, 그럴 때 해야 할 마음을 버리고, 그럴 때 해야 할 마음을 버립니다.

관계를 쫓지 말고 물 주전자에 머 무르지 말고 마음을 비우십시오.

여기서 말하는 관계는 의지의 존재, 즉 차별과 관련된다.

분별력에 관해서는 여러 번 설명했듯이 이것이 일어날 때 그것은 동시에 일어납니다.

그러므로 태어남은 죽음에 이르고 즐거움이 생기면 고통도 생기므로 하나를 경험하면 다른 하나도 경험하게 되는데, 이것은 정반대이므로 분별 인과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좋은 것을 얻으려 하지 않으면 나쁜 일이 생기지 않는다.

” 이것을 중도라 하는데 불교도는 분별력을 버리고 중도를 추구해야 한다.

물주전자와 같은 빈 마음에 머물지 않는 것, 융통성 있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비어있다는 것은 장애물이 없다는 뜻으로 무게중심과 같이 불연속적인 상태를 말한다.

그러나 공이 생기는 것과 동시에 비공이 생긴다.

또는 비어 있다고 생각조차 하지 않으면 정말 비어 있게 됩니다.

생명이 없는 몸, 즉 비창조는 참된 몸과 같습니다.

이제는 학습과 사고의 향상을 통해 일상을 살아가면서 실제로 마음을 먹는 차원으로 나아가야 한다.

업보를 지우는 것은 쉽지 않지만 꾸준한 노력과 근면의 힘으로 극복해야 합니다.

많이 알고 있어도 배우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차별하지 않는 습관은 무조건 길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순간순간 일어나는 걱정과 걱정을 버려야 합니다.

이러한 관행과 습관을 자신의 몸에 맞추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걱정과 걱정은 욕심의 산물이다.

탐욕은 필연적으로 고통과 고통으로 이어집니다.

그래서 고통과 죽음의 기억을 통하지 않으려면 욕심을 버려야 하고, 욕심을 버리려면 판단을 버려야 한다.

통찰을 버리기 위해서는 시시각각 도착과 출발의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

그러므로 무슨 일이 있어도 무조건 진정해야 한다.

그런 다음 무언가 잘못되었을 때 해야 할 일을 놓아야 합니다.

그래도 안심이 되지 않는다면 병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당신은 시도해서는 안됩니다.

힘으로 안 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만약 일이 잘못되어 더 큰 일이 생기면 어쩌지”라는 사고방식을 버려야 합니다.

백척 간두에서 두 발을 떼야 한다.

“그래도 다음 일이 걱정되면 뭔가 잘못되지 않을까요?” 생각은 마음껏 하되 걱정은 내려놓으라는 뜻이다.

쾌락과 쾌락의 원인과 결과는 얻은 만큼 잃는 것, 즉 그런 분별하는 마음이 원인이고 쾌락과 쾌락의 결과로 괴로움의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 영원의 법칙이다.

결국 인생은 원인과 결과 그 자체이기 때문에 한 번 이기면 한 번 잃고 언젠가는 잃게 된다.

마음이 없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즉, 어차피 되는 일을 했다면 순수한 정욕을 포기하지 않았다는 증거다.

이미 같은 차에 타고 있는데 어떻게 다른 사람보다 더 빨리 운전할 수 있습니까? 그런 어리석은 짓을 하지 말라는 뜻이다.

목표의 결과는 이미 정해져 있고, 걱정한다고 해서 결과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생각, 그 느낌 저 느낌 다 내려놓고 매사에 최선을 다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래서 놓아버리는 마음을 계속 내려놓는 것이 깨달음이고 해탈입니다.

여전히 일이 잘 풀리지 않는다면 함께 기도하고, 명상하고, 보시하고, 부지런할 수 있습니다.